본문 바로가기
하노이 살 적에../베트남 이미지

베트남 설날 뗏(Tet) 풍습(2)

by 쏘아이 2012. 1. 15.

 

한국에서 설날에 반드시 떡국을 먹듯이, 베트남의 설날 뗏(Tet)에서 반드시 있어야 하는 음식이 있는데,

바로 바잉 쯩(Banh chung)과 바잉 자이(Banh day) 라는 두개의 떡이다.

이 두 떡에 대해서는 전해 내려오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베트남 고대의 왕 웅왕(雄王, BC 2~3세기경)은 아들이 22명이나 되었다.  

 

 

웅왕은 여러 명의 아들 가운데 누구에게 왕위를 물려줄까 고심을 하다가 설날 전에 왕자들을 모이게 했다.

 

 

웅왕은 "설날에 조상의 제사를 지내기 위해 음식을 만들어야 하는데 가장 맛있고

 

의미가 있는 음식을 만들어 오는 사람에게 왕위를 물려 주겠다" 고 말하였다.

 

랑리우는 18번째 왕자로 매우 착하고 벼농사를  짓는 사람이었다.

 

그런데 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셔서 음식 만드는데 왕자를 도와 사람이 없어서 걱정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그의 꿈에서 어떤 신이 나타나 그에게 말하길,

 

"세상에 사람을 키우는 바로 쌀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쌀은 가장 귀한 식량이다.

 

찹쌀로 원형과 정사각형의 떡을 만들어라. 그것은 하늘과 땅을 상징하는 의미다.

 

그리고 떡을 나뭇잎으로 포장하고 안에 음식을 넣어라. 그것은 부모와 자식을 의미하는 것이다 " 하고 말하였다. 

 

 

랑리우는 신의 말씀대로, 찹쌀로 땅의 모양처럼 정사각형 떡을 만들고 바잉쯩(Banh chung)이라고 불렀다.

동시에 찹쌀을 빻아 하늘 모양의 둥근 떡을 만들고 바잉 자이(Banh day)라고 불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뭇잎으로 포장을 한 후 왕에게 가져갔다. 

 

여러 명의 왕자들은 각가지 다양한 음식들을 만들어 왔다. 

랑리우는 왕에게 그 음식을 바치고 그 꿈도 이야기 하였다. 

 

왕이 먹어보니 음식이 맛이 있고 의미가 매우 커서, 랑리우 왕자를 칭찬했으며, 그에게 왕위를 물려 주었다.

때부터 사람들은 설날에 바잉 쯩과 바잉 자이를 만들어 제사를 지내고 먹는 풍습이 생겼다고 한다.

                    

                 랑리우 왕자가 바잉 쯩과 바잉 자이를 만드는 모습     

 

네모난 떡 바잉 쯩

 

둥그런 떡 바잉 자이

 

바잉 쯩을 만드는 모습 (사진: 베트남 구글 이미지 검색)

1. 찹쌀,돼지고기,녹두, 라종 잎(또는 바나나잎), 대나무 껍질 끈 등을 준비한 후, 잎 위에다 불린 찹쌀을 넣고 녹두, 돼지고기를 넣는다.

  

 

2. 잎으로 싸서 묶는다.

 

 

3. 12시간 이상 끓인 후 무거운 돌로 눌러 놓는다.

 

베트남에서는 설날이 되면 집집마다 바잉 쯩을 만들고

바잉 쯩이 없으면 설날이 아니다 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 베트남에서는 설날에 세뱃돈을 주는 풍습이 있다. 붉은 색의 봉투에 돈을 넣어서 덕담을 하면서 주는데,

한국과 다른 점은 세배를 받지 않고 세뱃돈만 준다. 

 

붉은 색의 세뱃돈 봉투

 

 이처럼 베트남의 설날 풍습은 한국과 비슷하면서도 매우 다른 점을 갖고 있다.

그런데 베트남에서는 왜 세배를 받지 않고 세뱃돈만 주는지...

잘 이해가 안가는데,  이 질문에 대답을 해주는 사람이 없으니 답답할 뿐...